접수년도 기준으로 해서
18세~24세 그리고
최종적으로
학력이 고졸이하인 병역의무자가
해당이되는 취업맞춤특기병에 대해
알아보는 분들이 많습니다.
취업맞춤특기병의 경력인정과
취업연계라는 장점부각에
21개월간의 군 복무를
허투루 보내기 싫은 분들은
이 제도를 기존에 알거나
새롭게 알게 되었다면,
지원자격을 갖추어
지원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취업맞춤특기병의
딜레마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우선,
취업맞춤특기병은
기술자격이 없어도 가능합니다.
IT특기병에 대표적인
정보보호병, SW개발병 경우에는
관련학과 전공자들이
IT자격증과, IT이론 및 실무능력을
어느정도 갖춘 후
경쟁을 하는 것과는 다르게 말입니다.
고용노동부의 취업성공패키지를 발급받아서
6개월간 국비교육과정을 이수하면
특수한 상황을 제외하고
취업맞춤특기병에
99.9% 다 들어갑니다.
앞에서 언급했던 것과 같이
전역을 하면
취업을 앞두고 있고,
군 복무를 취업연계에
활용하고자 한다면,
그리고
고졸이하에, 접수년도 기준
24세 이하라면,
국비교육과정 기술훈련을 받고,
취업맞춤특기병에
지원안할 수가 없습니다.
다만, 취업과 직결되는
군 복무 경력인정과
기업 연계에 있어서
신중해야 합니다.
군 복무 후에
취업정보 지원과
취업성공패키지 유형 참여후,
전역 3개월 내 취업시 지급되는
취업성공수당이 있더라도 말입니다.
취업맞춤특기병에 지원하기 위해서는
학력과 나이 조건 뿐만 아니라
기술 훈련 즉, 국비지원교육을
이수해야만 합니다.
문제는
국비지원교육이 기초부터 심화까지
순차적으로 배우는 과정이 아닌
취업연계가 목표인 심화반으로,
조별토의 및 포트폴리오를
집중적으로 다루기 때문입니다.
특히, 학력보다
실무능력을 우선적으로 보는
IT분야 경우,
IT국비지원교육을 통해
IT취업까지 고려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프로그래밍부터해서 서버/네트워크, 운영체제,
더 나아가면 상위계열 모의해킹, 포렌식, 보안 등
전반적인 IT이론 및 실무에 있어서
기술훈련 국비지원교육을
덜컥 이수하다가는
교육 이해도 되지 않을 뿐더러
팀을 이루어 진행하다보니,
주어진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면
팀원 눈치를 볼 수 밖에 없습니다.
중도포기를 하거나
군 복무 지원을 위해
이수를 어떻게든 했다 하더라도
단순 속성공부로 인해,
취업연계에 있어서
고연봉 및 고대우를
기대하기는
힘들어집니다.
취업맞춤특기병이라는 좋은 제도를
어떻게 준비하여 활용하는가에 따라서
군 복무 경력과 취업에
우위의 경쟁력을 확보할지
아니면
시간과 노력을 허비할지 모르는
딜레마에 빠질지는
해당 지원자의 확실한 목표와
세부적인 계획에 따른
실천력에 달려있겠습니다.
'IT 그것이 알고싶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특별전형 제대로 알아야 합니다 (0) | 2018.01.12 |
---|---|
IT취업 선택이 어렵습니까? (0) | 2018.01.12 |
전문연구요원 IT병역특례 필수요소 (0) | 2018.01.03 |
자바웹개발자 취업 코딩이 핵심 (0) | 2017.12.20 |
정보올림피아드 준비방법 및 정리 (0) | 2017.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