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그것이 알고싶다

빅데이터분석과 개발자 명확히 알아야하는 전문가


빅데이터전문가


사실상 IT분야에 있어서

오래전부터 존재해 있었던 

직업군입니다.


인공지능개발과 

사물화인터넷 IOT라 하여

알파고를 기점으로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제하면서,

통계 후 분석을 통한

최적의 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다만 확실히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빅데이터 전문가는

빅데이터 분석가와 

개발자로 나뉘게 됩니다.


일상전반에서 나오고 있는

무수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제를 하여

통계 후 분석을 하고

솔루션을 구축하는 전 과정을

임의대로 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수집만을 

하는 것을 좋아한다


혹은


데이터 분석에 있어서 

통계를 내리는 것을 좋아해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는 식은

빅데이터 전문가 진로에 있어서

자칫 위험할 수 있겠습니다.



빅데이터 전문가 개념에 대한

진실을 말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빅데이터 분석가 경우,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계를 내리는 부분에 있어서

사전에 저장하는 

할을 주로 하게 됩니다.


신입 경우, 이 역할을 주로 맡게 됩니다.


반면에

팀장 혹은 부장급 이상이

수집한 데이터를 가지고

통계 후, 분석을 하여

결과값을 도출하게 되는데


이 파트가 빅데이터 개발자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빅데이터 취업경우

프로그래밍부터해서

서버/네트워크 그리고

하둡/R 프로그래밍 과정을 

순차적으로 

밟으셔야만 하겠습니다.


하둡 경우,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기술이며


R 프로그래밍은

통계부분에 있어서

쓰이게 됩니다.


또한, 빅데이터 채용 경우,

경력직을 위주로 뽑기 때문에

곧장 빅데이터로 진로를 

설정할 수도 있겠으나,


프로그래머 등 하위계열부터

경력을 쌓고 추가적인 준비를하여

상위계열 빅데이터로 전향하는

방법 또한 있겠습니다.


학력은 연봉 및 진급평가에 있어서

석사 이상은 

기본적으로 필요합니다.



IT분야로는

개발자와 엔지니어로

크게 나누어 볼 수가 있으며


하위계열 로그래머, 엔지니어부터해서

상위계열 데이터베이스, 

정보보안, 빅데이터 등이 있습니다.


빅데이터 전문가로 준비 및

이직 전향을 생각하고 있다면


석사 이상의 학력 뿐만 아니라

IT실무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IT자격증

정보처리, 리눅스마스터, 네트워크관리사2급

위 자격증을 취득해야하나


무엇보다도 

예비 빅데이터전문가에게 있어서

상황과 조건, 

IT공부 수준등을 

총체적으로 

파악해야만 합니다.


그리

맞춤 컨설팅과 더불어

세부적인 계획을 세워

실행하는 것이 관건이겠습니다. 


세세하게 알고 싶은 부분 혹은

기타 문의는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